우리나라는 천만 반려인의 시대가 시작되었고,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반려동물의 역사와 함께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키울 때의 장점 및 단점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역사
반려동물은 사람이 정서적으로 의지하기 위해 집에서 기르는 동물을 말합니다. 과거에는 사람에게 귀여움을 받고 즐거움을 준다는 의미에서 애완동물이라 하였으나, 198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인간과 애완동물의 관계를 주제로 한 국제 심포지엄에서 애완동물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반려동물로 부르자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현재에는 동물이 장난감 같은 존재가 아니라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반려자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반려동물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장점
1.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
반려동물과 눈을 맞추고 스킨십을 하면서 사람은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고 정서적 위로를 받으며 반려동물을 의지하게 됩니다. 반려동물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통해 감성, 사회성, 공감하는 능력이 높아지므로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리적,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습니다.
2. 신체 운동을 통한 건강 유지
반려동물 중 대다수는 실내 놀이와 더불어 외부 산책이 필요합니다. 외부 산책은 반려동물의 스트레스 감소뿐만 아니라 다른 반려동물과의 교류의 기회가 됨으로써 심신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반려인에게 반려동물과의 산책은 함께 운동하는 시간이 될 수 있으므로 신체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3. 가족 간 소통 활성화로 인한 화목
요즘은 몇 안 되는 가족 구성원들이 각자의 공간에서 각자의 시간을 갖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생기는 다양한 애피소드는 가족 간의 대화의 중심이 되며 가족 sns를 통하여 반려동물의 사진을 찍어 교류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가족 간 소통의 시간이 늘어나고 가족 구성원들 간의 화목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반려동물이 아파서 병원 치료가 필요할 경우에는 서로 일정을 조율해서 병원 진료를 가는 등 단합된 모습을 보일 것입니다.
단점
1. 경제적 비용 발생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가장 큰 부담은 경제적 비용 증가입니다. 반려동물이 어릴 때는 매달 들어가는 사료값, 미용비, 간단한 병원 진료비 정도이나, 노령화가 될수록 예기치 못한 질병과 사고로 인한 치료비용은 적게는 백만원 단위부터 많게는 천만 원을 상회하는 금액이 됩니다. 따라서, 경제적 비용을 부담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반려동물을 입양하는 일은 심각하게 다시 고민해 보아야 할 문제입니다.
2. 시간 및 노력 투자
반려동물은 혼자 미용하고 병원 가고 약을 먹을 수 있는 존재가 아니므로 이러한 모든 활동은 반려인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반려동물에게 식사를 제공하고 심지어 배변 활동 후 배변 정리하는 것도 반려인의 몫입니다. 반려인이 된다면 매일 꾸준한 산책은 필수이며, 반려동물을 위한 옷과 건강식을 준비하는 것에도 정성을 쏟아야 합니다.
3. 스트레스 증가
여러 반려동물을 동시에 키우는 경우에는 반려동물끼리 서열 다툼을 하여 피를 흘리고 심각한 상처를 입기도 합니다. 이러한 일은 하루 이틀에 끝나는 것이 아니므로 몇 달, 몇 년이 걸릴 수도 있으며, 언젠가는 반려동물을 서로 분리하여 다른 곳에 입양을 보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몇몇 동물은 헛짖음, 하울링 등의 지나친 소음으로 인하여 이웃 주민으로부터 민원신고를 받기도 합니다. 다른 동물이나 사람을 무는 개물림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여러 가지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됩니다.
4. 펫로스 증후군
반려동물과 이별을 하고 나면 몇 일 혹은 몇 달을 못 먹고 못 자며 반려동물이 곁에 없음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괴로워합니다. 함께 한 세월이 길면 길수록 자식같이 분신같이 생각하던 반려동물의 빈자리는 더욱 커질 것이며 공허함과 외로움은 더욱 깊을 것입니다.
반려동물은 장난감이 아니라 생명입니다. 반려동물을 키울 때의 장점과 담점을 면밀히 고려하여 책임 있는 입양을 하여야 하며, 행복한 반려동물 및 반려인의 삶을 위하여 우리는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반려인의 증가 추세와 더불어 유기동물의 증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외롭다고 귀엽다고 입양하지 말고, 돈이 많이 든다고 버리지 말고, 한 번 입양하면 끝까지 책임진다는 마음으로 반려동물을 키워야 합니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숑 프리제의 외모 및 성격 (0) | 2024.02.14 |
---|---|
포메라니안의 특징 및 관리 방법 (5) | 2024.02.13 |
푸들의 특징 및 관리 방법 (2) | 2024.02.09 |
말티즈(몰티즈)의 특징 및 관리 방법 (0) | 2024.02.07 |
반려동물의 유기 현황 및 유기 방지 대책 (6)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