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진도개(진돗개)의 역사 및 특징

제이 에스 2024. 2. 20. 23:33

전라남도 진도군 일대에서 길러오고 있는 우리나라 특산 진도개의 특징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역사

삼국시대에 남송의 무역선에 의해 유입되었다는 설과, 1270년 삼별초의 항쟁이 일어났을 때 몽골에서 제주도 목장의 군용 말을 지키기 위해 들여왔다는 설 등이 있습니다. 대륙과 격리된 채 비교적 순수한 형질을 보존하여 오늘날의 진돗개가 되었습니다. 1962년에는 대한민국 문화재청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1967년 한국진돗개보존육성법, 문화재관리법에 의해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1968년 한국진도견보육협동조합이 발족하여, 진돗개의 외부 반출과 혼혈 방지 등 우수한 혈통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문화예술축전에서 행진 퍼레이드를 진행하였으며, 2008년에 미국켄넬클럽에서 공식적으로 품종으로 인정받았습니다.

특징과 성격

대한민국에서 사냥과 경비를 위해 길러지던 토종개로 사냥본능이 강하고 후각, 청각이 예민하여 사냥에 적합하며 충직하고 영리합니다. 영민하고 기민하면서도 신중한 성격으로 문제해결 능력이 뛰어나며. 귀가성이 뛰어나고 보호자에 대한 애정과 충성심이 매우 강합니다. 진도개 고유의 능력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수렵성입니다. 대담하고 용맹하여 산속에서 멧돼지 같은 맹수를 만나도 겁을 먹지 않고 덤벼들며 야생동물을 물었을 때 한 번 물면 놓지 않는 지독한 근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낯선 사람을 경계하여 만지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다른 견종들을 경계하며 특히 수컷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외모

키는 수컷이 50∼55㎝이고 암컷은 45∼50㎝이며, 무게는 수컷 18~23kg이고 암컷이 15~19kg으로 수컷이 암컷에 비해 큽니다 머리는 일반적으로 뭉툭한 삼각형 모양이며 눈은 붉고 둥근 모양으로 눈꼬리가 약간 올라가 있으며, 귀는 앞으로 약간 경사지고 중간 크기의 삼각형 모양으로 곧게 서 있습니다. 코는 검은색이며 담홍색을 띠고, 앞다리는 견고하여 직선이고 뒷다리는 뒤쪽으로 힘 있게 버티고 있습니다.

피부와 털

털은 이중모를 가지고 있으며 속털은 부드럽고 조밀하고 겉털은 빳빳하고 두꺼우며 강하고 윤택하며, 얼굴에는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고 꼬리의 털은 약간 길며, 털색은 황색 또는 백색입니다. 일 년에 두 번 털갈이를 하며, 이중모로 털이 많이 빠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빗질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털 빛깔과 무늬에 따라 전신이 황색인 황구, 아이보리색 귀를 제외하고 전신이 백색인 백구, 늑대를 닮은 전신이 회색인 재구, 호랑이를 닮은 갈색과 검은색이 얼룩진 호구, 검은색이 전신에 나타나는 흑구가 있습니다.

잘 걸리는 질병

대형견에게 흔한 고관절과 엉덩이 관절 이형성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관절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관절의 불안정성과 마찰을 유발하여 관절염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피부 가려움, 염증, 발적, 다양한 알러지 반응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포도막염, 각막 굴절이상, 염증성 질환 등으로 눈이 붉어지고 가렵거나 눈부심, 분비물,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귀 염증, 귀 진드기 감염, 이물질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귀 통증, 가려움, 분비물, 냄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관리 방법

친밀감이 있는 상대에게는 온순한 표정을 보이나, 낯선 사람이나 동물에 대해 경계하는 편이므로 어릴때부터 사회화 훈련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돗개는 깔끔한 성격으로 가족들과 생활하는 실내에서 배변을 하지 않고 실외 배변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루에 3~4회의 산책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집안에 있는 경우에는 씹을 것이 필요해서 집안 살림살이를 물어뜯기도 하는데, 이 문제로 많은 진도개가 종종 주인에게서 버려져 애견 보호소에서 발견되기도 합니다. 어린 진도개는 씹을 것을 장난감으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질병과 건강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진 및 적절한 식이 관리, 규칙적인 운동, 체중관리, 피보와 귀의 청결 유지 등이 중요합니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글의 특징 및 성격  (0) 2024.02.24
웰시코기의 종류 및 특징  (0) 2024.02.22
골든 리트리버의 역사 및 관리 방법  (0) 2024.02.19
시추의 역사 및 특징  (0) 2024.02.15
비숑 프리제의 외모 및 성격  (0) 2024.02.14